본문 바로가기
하루 경제

230404 어피티 읽기 - 말소기준권리, IRP

by 껌윤정 2023. 4. 4.
  • 기업경기실사지수(BSI): 기업들이 현재의 사업과 미래의 동향에 대해 전반적인 경기 추세를 알아보는 지수. 100 미만일 때 경기 악화라고 보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의미
  • 내수(domestic demand): 한 나라의 정부와 민간에서 시행하는 소비와 투자의 총합
  • 중간재: 부분적으로 완성된 제품의 재화. 최종제품의 생산에 투입하는 재료
  • 개인형퇴직연금(IRP): 개인이 투자금 납입과 자산 관리까지 모두 담당하는 퇴직연금 제도

 

말소기준권리

  • 등기: 법정절차에 따라서 등기부에 부동산의 표시 또는 권리를 기재하는 것
  • 말소: 등기를 사라지게 함
  • 말소기준권리란? 등기가 말소되는 데 기준이 되는 권리 표시. 쉽게 말해 등기 말소 기준으로, 경매에서 부동산을 낙찰받을 경우, 해당 부동산에 묶여있던 권리(경매 낙찰 잔금 외에 물어줘야할 돈) 등이 있는지 알아보는 기준

 

말소기준권리의 종류 다섯가지

  • (근)저당권
  • (가)압류
  • 담보가등기
  • 경매개시결정등기
  • 전세권

 

(근)저당권이란

  • 저당권: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줄 때 채무자의 부동산을 담보로 해서 다른 후순위 채권자보다 우선적으로 채무를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
  • 채권최고액: 채권자의 손해를 줄이기 위해 설정된 금액으로, 채권자가 집을 담보로 한 집주인에게 돈을 돌려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 최대 금액. 통상 빌린 금액의 120~130%까지 설정. 원금만큼만 저당권으로 설정해놓게 되면 채무자가 약속한 날에 돈을 갚지 않을 경우 기간 만큼 채권자의 이자와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보호 장치
  • 근저당권: 저당권의 종류로, 저당권의 개념에 채권최고액의 개념이 추가되는 것. 채권자가 돈을 제때 갚지 못할 변동상황을 고려하여 처음에 돈을 빌려줄 때부터 실제 채권액보다 10~20% 높은 금액을 ‘채권최고액’으로 두는데, 이처럼 장래에 생길 수도 있는 채권에 대한 담보도 포괄하는 저당권을 근저당권이라고 함 (편의성)

 

참고

- 어피티(23.03.31) https://uppity.co.kr/moneyletter_archive/?q=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&bmode=view&idx=14637215&t=board 

 

댓글